문과의 고군분투기/Data 분석과 기획

[기획] 도그냥님의 무료 강의 후기 - 서비스 기획이란?

energy_water 2021. 1. 6. 22:45
반응형

요즘 부쩍 고민이 많다. n년간 전략 기획을 해왔는데, 조직이 꾸준히 개편되는 상황에서 없는 서비스 기획자의 공백을 메꿔야 할 일들이 계속 생기고 있다. 예를 들어 UI를 설계한다던지, 여러 기능들을 언제 출시할 건지, 어떤 구조로 개발할지 등등, 어디까지가 나의 역할인지 머리 속이 복잡하여 검색하던 중 몇개의 짧막한 강의가 무료 배포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도그냥 님의 시작하는 회사를 위한 웹/앱 서비스 기획

총 네 개의 강의를 서울창업카페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다.

 

서울창업카페 서초교대점

© 2021 Google LLC CEO: 선다 피차이 주소: 1600 Amphitheatre Parkway, Mountain View, CA 94043, USA. 전화: 080-822-1450(무료)

www.youtube.com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 같다 했더니, 한창 정보를 찾던 시기에 봤던 책제목이 떠올랐다: '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패스트캠퍼스에서 활동하시는 모양이다. 궁금해서 저자 정보를 보니 본래 경영대생이셔서 괜히 반가웠다.

 

언제 한번 보겠다고 생각했지만..

 

강의 제목이 말해주는 것처럼, 이 강의는 창업자를 위한 것이다. 딱히 서비스 기획직에 대한 이해가 없더라도 온라인 비즈니스를 고려하는 창업자들을 위해 제작된 것 같았다. 한번도 서비스 기획이란 무엇이고, 사업 기획 또는 전략 기획과의 차이에 대한 설명을 들어본 적이 없는데, 그 개념을 정리할 수 있었던게 개인적으로 큰 수확이었다.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업무는 무엇이고, 전체 사업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서비스 기획할 때 중요한 포인트들은 무엇일까?

반응형

도그냥 님의 영상은 총 4개이고, 구성은 다음과 같다:

 

시작하는 회사를 위한 웹/앱 서비스 기획

서비스와 기획을 정의하고 서비스 기획과 전략기획과의 차이를 설명해준다. 그리고 사업을 구상하며 어떤 흐름으로 사업 또는 전략 기획자와 서비스 기획자가 어떻게 협업하고 서비스 구축으로 넘어가는지 설명해줘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창업자를 위한 웹/앱 서비스 종류

웹/앱 서비스를 분류하고, 아마존의 플라잉휠을 통해 어떻게 서비스를 선순환구조로 운영할 수 있는지 설명해준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서비스를 비교하며 특징과 장점을 정리해준다.

 

MVP로 기획하는 웹/앱 서비스

창업하며 서비스를 구상할 때 가장 중요한 개념인 MVP (Minimum Viable Product)를 통해 어떤 우선 순위를 가지고 기획을 해야하는지 알 수 있었다. 나는 창업자는 아니지만, 최소한의 투자로 시작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부분은 유용하게 느껴졌다.

 

개발을 위한 기획 구체화 방법

'아이디어는 기획이 아니다' 라는 소제목에 뜨끔했다. 서비스 기획자들이 많이 공들이는 부분이 여러 사람들에게 어떻게 시각화하여 제품을 보여줄까인 점은 대략 알고 있긴 했다. 하지만 각 기능별로 정책이 설명된 서비스의 이용 프로세스를 보고, 설명은 들은 적은 처음이라 개인적으로 가장 좋았던 영상이었다.

 

 

 

이 영상을 보고, 현업에 뛰어들기 전에 알았더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들었다. 몸으로 부딪히며 알게 되는 것도 좋지만, 한번의 설명이 더 좋을 때도 있는 것 같다. 꼭 서비스 기획자가 아니더라도 강의는 간결하고 쉬워서, IT 적인 협업이 필요하거나, 필요할 예정인 분들께 추천한다.

 

지난 탈잉 강의 후기는 개발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한 것이었다면,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알고자 하는 분들에게 추천한다.

(탈잉 원데이 클라스 후기 ↓↓↓)

 

탈잉 - 비전공자를 위한 IT지식 원데이 클라스 후기

지난 칸아카데미 - Computers and Internet 수강 후기에서 PM으로서 비개발자의 답답함을 토로했었다. 이번에는 조금 더 나의 목적과 맞는 좋은 강의를 발견하여 소개하고, 후기를 써보고자 한다. 적당

energywater.tistory.com

 

반응형